교회사 2 (종교개혁사)
작성자 늘푸른 댓글
/ 조회: 11,415회
작성일
2009-09-23 23:10
【 6 】종교개혁사
1.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자들
1) 존 위클리프(John Wyclif, 1328-1384)
※생애
-1330년경 영국의 부유한 가정에서 출생.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하고 신학 교수와 궁정 목사를 지냄.
-1378년 ‘성경의 진리(The Truth of Holy Scripture)'라는 저서를 통하여 성경이 최종의 규범이며, 교회, 전통, 종교회의, 심지어 교황 자신도 시험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함.
-1379년 ‘교황의 권력(The power of the Pope)’에서 교황제도는 인간에 의해 세워진 제도이지 하나님께서 정하신 직분은 아니라고 논증함. 후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교황 제도를 완전히 부정하고 모든 교황을 적그리스도로 간주함.
-1382 - 84년, 성서를 Vulgate으로부터 일상 언어로 번역하여 보급하고 성경읽기를 장려함.
-1415년 콘스탄스 대회에서 위클리프의 죄상을 267항목이나 나열하고 그의 모든 저서를 불태웠으며, 그의 유해를 발굴하여 화형에 처하고 재를 강에 버렸다.
※사상
-성서만을 신앙의 유일한 표준으로 삼았다.
-제반 교회의 악습과 감독의 사치 풍조, 걸식 수사의 폐단을 공격했다.
-화체설의 부당성을 지적했다.
-교황정치를 부인하여 교황의 주장은 성서에 비추어 볼 때 악한 것이며, 교황의 구원도 일반인들과 하등의 차이가 없고 교황이 기준이 될 수 없다고 역설함.
-성직자의 독신을 반대했다.
-위클리프의 교훈을 따라 조직된 ‘미미한 전도자’라 불리는 롤라드 전도대의 활약이 활발했다.
-위클리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지역은 중부 유럽과 보헤미아였다.
2) 존 후스(J. Huss, 1361-1415)
-옥스퍼드 유학생으로 재학 시 위클리프에게 공부했으며, 귀국하여 보헤미아 지방에서 위클리프의 사상을 전파했다.
-교회의 진정한 머리는 교황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이며 신약성경이 교회의 법칙이라 주장함.-1412년 요한 23세의 면죄부 증여를 반대하며 교황은 무력을 사용할 권리가 없고 돈 지불이 진정한 사죄를 줄 수 없다고 주장함.
-1415년 정죄되어 화형 당함.
-후스가 죽은 후 보헤미아에서 반란이 일어남.
-반란이 카톨릭과의 싸움으로 변했는데 온건파는 가톨릭으로 돌아가고 강경파는 그 후 모라비아에 모여 진젠돌프 경건주의의 기초를 이룸.
3) 사보나롤라(Savonarola, 1452-1498)
-이탈리아의 페라라에서 출생하여 볼로냐의 수도원에 들어가 성서와 어거스틴의 저서를 탐독함.
-플로렌스에서 예언자적 설교를 감행하며 교회 개혁운동을 일으켰다.
-타락한 교회를 비판하며 하나님의 심판이 임박해 올 것을 강조하여 회개를 촉구했다.
-알렉산더 6세는 설교 금지령을 내리고 수도회 관구의 합동을 명하였으나 불복했으며 결국 파문당함.
-교황 선거에 있어서 교황의 부정을 이유로 퇴위를 결정할 공의회를 소집하고자 했으나 실패하고 1498년 화형을 당함.
2. 종교개혁
1) 종교 개혁의 원인과 시대적 배경
(1) 시대적 배경
① 16세기 초의 상황은 15세기와 여러 가지로 다른 입장에 놓였다. 교황청이 약화되고, 봉건주의 체제가 붕괴되면서 중세가 무너지게 되었다. 스페인, 영국, 포르투칼, 프랑스, 스웨덴, 러시아에서 강력한 민족주의가 출현하여 교황권이 약화된다.
이때 국가는 기독교와의 관계를 멀리해가는 입장을 취하고, 국가간에는 서로 전쟁이 일어나서, 기도교인간의 싸움으로 인하여 기독교인들의 신앙이 파괴되었다. 정신적으로는 옛날로 돌아가자는 데서 르네상스(Renaissance Humanism운동)가 일어남.
② 인간을 강조하는 측면으로 나아가서, 인간의 이성, 오성, 인간의 가능성을 강조함.
③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케플러의 스학,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역학, 뉴톤의 중력의 법칙, 파스칼의 미.적분학 및 유체 역학 등. 이러한 사람들의 지식들은 그때 발명된 인쇄술에 의하여 삽시간에 전 구라파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래서 기독교의 권위는 떨어지고, 회의주의로 흘러 무신론이 팽배하였다. 이성에 모순되는 기독교의 진리는 더 이상 사람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그리고 교회를 떠나서도 인간의 의식주를 해결하고, 미를 감상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④ 아메리카 대륙이 유럽인들에게 알려졌다. 그리고 아시아로 가는 새로운 항로를 발견하고, 필리핀 제도와 아시아 남동부 여러 해안을 발견했다. - 이런 대륙들은 유럽인들에 의하여 식민지화 되었다.
⑤ 이러한 대륙의 식민지화는 원주민을 노예화 시켰으며, 노예 무역이 시작되게 했다. 그리고 길드(Guilds)를 통해서 이루어진 산업이 쇠퇴하고, 주식회사가 발생하여 자본 주의가 시작되었다.
(2) 종교 개혁의 원인
① 교회 내부의 부패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남(교리적인 탈선 - 신조, 미사, 예배의 해설이 불분명함).
② 교회 내의 각종 분파 등장(교회 내의 이단, 신비주의).
③ 성직자의 타락(annate 성행 - 각지역 사제의 취임 후, 1년간의 모든 재정을 교황청에 헌납하는 제도. Simony - 성직 매매. 네델란드 성직자의 25%가 첩과 동거, 시골 사제는 극빈 생활, 도시 사제는 술과 향략 즐김.)
④ 흑사병으로 사회 불안.
⑤ 평민에게 금전적 수탈 강요( 전 유럽 땅의 ⅓이 교회, 수도원의 소유였다. 독일의 GNP 40%가 로마로 유입됨). ➡ 다음과 같은 용어를 써서 로마를 비난함( Radix Ommium Malonum Avilitia = ROMA,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이다.)
⑥ 면죄부 판매 증가 ➡ 베드로 성당 건축(내부 ; 4만평), 성직자들의 사치 생활 조달금.
(1) 시대적 배경
① 16세기 초의 상황은 15세기와 여러 가지로 다른 입장에 놓였다. 교황청이 약화되고, 봉건주의 체제가 붕괴되면서 중세가 무너지게 되었다. 스페인, 영국, 포르투칼, 프랑스, 스웨덴, 러시아에서 강력한 민족주의가 출현하여 교황권이 약화된다.
이때 국가는 기독교와의 관계를 멀리해가는 입장을 취하고, 국가간에는 서로 전쟁이 일어나서, 기도교인간의 싸움으로 인하여 기독교인들의 신앙이 파괴되었다. 정신적으로는 옛날로 돌아가자는 데서 르네상스(Renaissance Humanism운동)가 일어남.
② 인간을 강조하는 측면으로 나아가서, 인간의 이성, 오성, 인간의 가능성을 강조함.
③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케플러의 스학,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역학, 뉴톤의 중력의 법칙, 파스칼의 미.적분학 및 유체 역학 등. 이러한 사람들의 지식들은 그때 발명된 인쇄술에 의하여 삽시간에 전 구라파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래서 기독교의 권위는 떨어지고, 회의주의로 흘러 무신론이 팽배하였다. 이성에 모순되는 기독교의 진리는 더 이상 사람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그리고 교회를 떠나서도 인간의 의식주를 해결하고, 미를 감상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④ 아메리카 대륙이 유럽인들에게 알려졌다. 그리고 아시아로 가는 새로운 항로를 발견하고, 필리핀 제도와 아시아 남동부 여러 해안을 발견했다. - 이런 대륙들은 유럽인들에 의하여 식민지화 되었다.
⑤ 이러한 대륙의 식민지화는 원주민을 노예화 시켰으며, 노예 무역이 시작되게 했다. 그리고 길드(Guilds)를 통해서 이루어진 산업이 쇠퇴하고, 주식회사가 발생하여 자본 주의가 시작되었다.
(2) 종교 개혁의 원인
① 교회 내부의 부패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남(교리적인 탈선 - 신조, 미사, 예배의 해설이 불분명함).
② 교회 내의 각종 분파 등장(교회 내의 이단, 신비주의).
③ 성직자의 타락(annate 성행 - 각지역 사제의 취임 후, 1년간의 모든 재정을 교황청에 헌납하는 제도. Simony - 성직 매매. 네델란드 성직자의 25%가 첩과 동거, 시골 사제는 극빈 생활, 도시 사제는 술과 향략 즐김.)
④ 흑사병으로 사회 불안.
⑤ 평민에게 금전적 수탈 강요( 전 유럽 땅의 ⅓이 교회, 수도원의 소유였다. 독일의 GNP 40%가 로마로 유입됨). ➡ 다음과 같은 용어를 써서 로마를 비난함( Radix Ommium Malonum Avilitia = ROMA,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이다.)
⑥ 면죄부 판매 증가 ➡ 베드로 성당 건축(내부 ; 4만평), 성직자들의 사치 생활 조달금.
2) 마틴루터(Martin Luther)와 종교개혁
(1)종교개혁의 원인
-교회의 부패 - 성직매매, 음란, 지방교회의 착취로 농민들의 경제적 불안
-교황의 세속화 - 교황의 권위 상실, 부도덕한 주교의 생활
-위클리프, 훗스의 종교 개혁론에 대한 일반인들의 호흥
-레오 10세의 면죄부 판매로 인한 루터의 격분
(2)종교개혁의 결과
-율법적 종교에서 복음적 종교로 전환
-의식적인 신앙에서 체험적인 신앙으로 전환
-교권주의에서 자유주의로 개혁
(3)루터의 생애
- 1483. 11. 10일 독일의 아이스레벤에서 가난한 광부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 에르푸르트 대학에서 스콜라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였으며, 1505년 어거스틴파 수도원에 들어가서 견습 수도사 기간을 거친 후, 1507년 신부가 되었다.
- 1512년 신학박사, 비텐베르크 대학 교수가 되었고, 1525년 카타리나 폰 보라와 결혼하였다.
- 1546년 2월 사망하였다.
(4)개혁의 과정
① 교황 레오 10세는 베드로 대성당을 건축하기 위하여 면죄부의 판매를 알브레히트에게 위임하였다. 알브레히트는 다시 도미니크 수도사인 텟젤에게 면죄부 판매를 위임하였다. 텟젤은 루터가 살고 있던 삭소니(Saxony)에 들어가서 면죄부를 팔고자 하였으나, 삭소니의 프레더릭 선제후는 텟젤이 들어오는 것을 금지시켰다. 그러자 텟젤은 삭소니의 경계선에 와서 면죄부를 선전하였고, 많은 삭소니 사람들은 면죄부를 사고자 모였다.
② 이에 비텐베르그(Wittenberg)의 대학 교수인 루터는 1517년 10월 31일 95개 조항으로 된 항의문을 비텐베르그 교회 정문에 게시하였다. 왜냐하면, 다음 날인 11월 1일이 만성절(All Saints Day)인 비텐베르그 예배당 창립 기념일에 많은 사람이 오기 때문에 그 기회를 이용하여 토론하기 위한 것이었다.
③ 95개 조항의 중요 내용
㉮ 면죄부는 하나님의 징벌을 해결할 수 없다.
㉯ 면죄부는 인간의 죄를 사하지 못한다.
㉰ 연옥에 있는 영혼에게 면죄부는 아무 소용이 없다.
㉱ 진정으로 회개한 자는 면죄부가 없어도 하나님께서 죄를 용서해 주신다.
㉲ 95개 조항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이신득의(以信得義)이다.
④ 95개 조항은 종교 개혁을 생각하고 붙인 것이 아니라, 단순히 면죄부를 토론하기 위하여 붙인 것이다. 이것은 인쇄되어 전 구라파에 삽시간에 퍼졌다. 따라서 로마 교황청까지 소식이 들어가게 되었다.
⑤ 1518년 2월, 도미니칸 파가 루터를 고발함. 7월, 루터를 로마로 정식 소환 요구. 8월, 레오 10세는 루터 체포령을 내림. 루터는 삭소니 공화국 프레더릭에게 신변 보호를 요청하였고, 프레더릭이 신변을 보호함.
⑥ 1520년 루터는 3대 개혁 논문을 발표.
㉮ 독일 크리스찬 귀족에게 고함 (To the German Christian nobility)
㉯ 교회의 바빌론 포로 (Babylonion Captivity of the church)
㉰ 크리스찬의 자유에 대하여 (On the Liberty of the christian)
⑦ 이 논문의 내용은 교황(레오 10세) 개인을 공격하려고 한 것이 아니라, 부패한 교회를 시정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⑧ 교황은 루터의 논문에서 41개의 이단 사상이 있다고하여 60일 이내에 불사르라고 요구함.
⑨ 1520년 12월 10일, 루터는 비텐베르그에서 교회 법규집, 도덕 철학서, 대교서 등을 불태웠다.
⑩ 1521년 1월 3일, 루터를 정식으로 파문하고 이단자로 낙인 찍음. 찰스 5세에게 즉시 체포하여 처형하라고 함.
⑪ 1521년 4월 16일-17일 웜즈(Worms) 회의에 출두하여 변명함(신변 보호 받음). 이때 많은 사람에게 감명을 줌. (“Here I stand God help me.")
⑫ 1522년 2월 헬라어 신약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여 출판함. 그 후 1534년에 히브리어 구약 성경을 독일어로 완역함.
⑬ 종교 개혁의 3대 원리
㉮ Sola fide ➡ 오직 믿음으로
㉯ Sola Scriptula ➡ 오직 성경으로
㉰ Sola Gracia ➡ 오직 은혜로
이 세 가지를 밑바탕으로 한 원리는 만인 제사장설이다.
⑭ 루터는 7성례 중에서 세례와 성찬만을 남기고 모두 폐지함.
(5)루터의 신학 사상
① 성찬에 있어서 화체설을 배격하고, 성체 공재설(共在說, 성찬 때에 그리스도의 몸이 임한다는 설)을 주장함.
② 경험적이고 실제적인 기독교를 주장함.
③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고 함.
④ 신자는 모두 제사장이다.
⑤ 성경의 권위가 교황이며, 교회와 교회 전통보다 우월하다.
⑥ 하나님께서는 성령으로써 실제로 또한 완전히 임재하심을 확언하신다.
3) 쯔빙글리(Ulrich Zwingli, 1484-1531)의 스위스 종교 개혁
(1)쯔빙글리의 생애
① 스위스의 빌트하우스에서 출생하여, 15세 때 인문주의 학자인 뵐플린에게 공부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에라스무스, 루터의 영향을 받았다.
② 바젤에서 뷔텐바흐의 가르침을 받으며, 성경의 권위, 그리스도의 사죄적 죽으심, 속죄표의 무가치 등을 배웠다.
③ 1506년 글라우스 교구에서 목사 생활을 했으며, 1519년 쮸리히 목사가 되었고 성서 강해를 시작하였다.
④ 1531년 로마 카톨릭의 연합군에 의해 자행 되어진 두 번째 전쟁인 카펠 전투에서 두 아들을 잃고 자신도 전사하였다. 카톨릭은 쯔빙글리의 사체를 여러 토막으로 잘라서 화형에 처하고 재를 뿌림.
(2)활동 및 사상
① 1523년 공개 대 토론회에서 “67 Articles” 라는 개신교 신학 요약책을 발표함으로써, 복음주의 개혁 운동을 시작하였다. 67개 조항의 내용은 복음의 권위는 교회에 있지 않고 성경에 있다는 것이었다.
② 구원은 믿음으로 얻어지는 것이며, 면죄부는 아무런 효력도 없다.
③ 성경을 한 법전으로 여겨서 성경에 분명히 기록되지 않은 것은 모두 반대하였다.
④ 미사의 희생적 의미를 부인하며, 연옥의 존재, 성도의 중보기도(죽은 자에 대한) 등을 부인함.
⑤ 회체설을 배격하고 기념설을 주장 하였으며, 그리스도만이 교회의 머리임을 강조하였다.
⑥ 신부의 독신을 반대하고, 교직자의 결혼을 옹호하였다.
⑦ 수도원의 재산을 몰수하여 구제에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⑧ 쯔빙글리의 죽음 후, 후게자인 블링거의 인도로 쯔빙글리 파는 칼빈파와 합류하였다.
(3)성찬에 대한 쯔빙글리의 입장
① 성찬은 그리스도를 기억하고 그와 영교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도들에게 빵만 주고 잔을 주지 않는 것(카톨릭 식 - 화체설)은 잘못된 것이다.
② 성체를 고양함은 물질을 우상화 하는 것이므로 잘못된 것이다.
③ 미사(Mass)에 희생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잘못이다. 왜나햐면 그리스도의 희생은 단 한 번으로 유효한 것이기 때문이다.
④ 성도 없는 미사는 무효이다.
⑤ 1525년, 주님과 성도의 영교로 빵과 포도주 모두를 사용한 최초의 미사와 성찬식을 거행함. 성찬의 의미는 기념(memory + symbol)으로 여겼다.
(4)쯔빙글리의 신학
① 그리스도인은 믿음에 의해서만 그리스도 앞에 나갈 수 있다.
② 신학의 기본은 기독론 중심이다. 그리스도 중심주의란, 실재보다 규범적 의미가 더 강하다. 즉, 인간이 영적 투쟁으로 자신을 깨달음이 아니라, 이지적인 깨달음에서 얻어지는 결과이다.
③ 예정론에 있어서는 어거스틴과 같이 이중 예정론(Double predestination)을 주장하였다.
성찬에 대한 이해들
① R. Catholic ➡ 화체설 (化體說, Transubstantiation)
② M. Luther ➡ 공재설 (共在說, Consubstantiation)
③ U. Zwingli ➡ 기념설 (記念說, memory symbolism)
④ J. Calvin ➡ 영적 임재설 (靈的 臨在說, Spiritually Presence)
|
4) 칼빈 (John Calvin, 1509 - 1564)의 제네바 종교 개혁
(1)칼빈의 생애
① 1509년 7월 10일, 프랑스 파리 동북부 Noyon에서 5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② 부친의 권유로 법학을 공부하다가, 부친의 사후인 1523년 8월 14세로 파리 대학에 입학하여 신학과 철학을 공부함.
③ 1536년, 27세 대 기독교 강요를 출판하였다.
④ 윌리암 파렐의 권고로 제네바에서 개혁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1540년 네델란드에서 피난온 한 과부와 결혼하였다.
(2)활동
① 1537년 제네바 시민들의 도덕적인 타락을 막기 위하여 ‘교회 치리에 관한 조문’이라는 책을 만들어 성찬, 아동 교육, 결혼에 관한 엄격한 교육을 실행하였다.
② 1538년 너무 철저한 개혁 운동으로 제네바 시민들의 반대를 받아 외국으로 추방당했다.
③ 독일의 슈트라스부르크에서 망명하던 중에 프랑스 피난민 교회의 목회자로 3년을 근무하였고, 이 곳에서 ‘기독교 강요 증보판’, ‘로마서 강해’, ‘사롤레토 반박문’을 출판하였다.
④ 1541년 제네바 시민의 요구에 의하여 3년만에 귀국하였다.
⑤ 제네바를 교회 국가로 조직하기 위하여 칼빈은 여러 가지 일에 착수하였다. 교회의 직분을 복사, 장로, 집사, 교사로 나누었고, 목사 5인, 장로 12인으로 평의회를 조직하였다.
⑥ 1553년 삼위 일체를 반대한 셀베투스를 화형으로 처형하였다.
⑦ 1559년 유명한 제네바 아카데미를 창설하였다. 여기서 제네바 개혁 사업은 절정에 이르렀다.
⑧ 제네바에서의 모범적 교회 정치체제와 제네바 대학, 칼빈의 성서 해석 등은 전체 유럽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3)칼빈의 사상
① 율법에 대하여 ➡ 인간의 가슴 속에 공포를 심어주지만, 그리스도에게로 이끌어 주는 몽학 선생의 역할을 한다. 인간이 영적인 능력이 없음을 깨닫게 해준다.
② 신앙에 대하여 ➡ 하나님의 약속과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죽음의 은혜를 의지하는 자체가 하나님의 선물이다. 영적인 교만 없이 통회, 감사 기도로 하나님께 나오는 선택받은 신자들의 가슴에 성령께서 믿음을 심어 주는 것이 신앙이다.
③ 성찬에 대하여 ➡ 성찬과 세례만이 성례로서 주님이 세워 주신 것임을 인정함. 영적 임재설을 주장함.
④ 교직에 대하여 ➡ 로마 카톨릭의 교직 제도는 비 성경적이다. 감독, 장로로 불리는 신약 교회의 설교자, 지도자들은 기독교 회중의 동의 아래 성직을 담당해야 한다.
⑤ 하나님의 섭리에 대하여 ➡ 하나님은 모든 실제(reality)를 공용하시고, 사소한 일의 발생도 아시고, 자연계, 영계의 모든 것을 감독 하신다. 참새 한 마리도 하나님의 허락 없이는 떨어지지 않는다. 하나님 앞에서 인간은 무력한 존재이고, 피조자인 인간은 창조자 하나님을 측량하지 못한다.
⑥ 예정에 대하여 ➡ 하나님의 주권(God's Sovereignty) 신학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중 예정(Double Predestiantion)을 주장함. “구원 받을 자와 멸망 받을 자”로 예정함. 신7:7-8절말씀처럼, 숫자가 많음이 아니요, 하나님의 일방적, 주관적인 선택이다.
⑦ 교회에 대하여 ➡ 단순한 기관이나 개개 신자의 집단이 아니다. 역사의 전과정 속에서 영원한 하나님의 목적이 이들을 위해서 나타나고(이들은 언약된 성약의 백성들이다.) 하나님의 말씀이 전파되고, 주님의 성례가 집행되는 곳에 교회가 있다.
(4)칼빈주의의 5대 강령
① 인간의 전적 타락(Total depravity) ➡ 인간의 전체 성질은 아담의 타락의 영향을 받는다.
② 무조건적 선택(Unconditional Election) ➡ 택하을 받는 것은 오직 하나님의 최고 의지에 의해서이다.
③ 제한된 구속(Limited Redemption or Atonement) ➡그리스도는 택함을 받은 자를 위해서만 돌아가셨다.
④ 불가항력적 은총(Irrestible regenerating grace) ➡ 택함 받은 사람은 모두 구원 받는다.
⑤ 택함 받은 자의 궁극적 구제(Perseverance of the Elect or regenerate) ➡ 하나님의 택함을 받은 자는 영원히 구원 받는다.
5) 종교 개혁이 국가와 교회에 끼친 영향
① 국가와 교회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시킴 ; 국가는 교회로부터 간섭받지 않고 세속 국가로서 독립을 얻게 되었다. 교회는 국가로부터 간섭받지 않고 독립 존재로 가능성이 있게 되었다.
② 프랑스는 카톨릭 국가로 남고, 영국, 스칸디나비아 제국은 국가와 왕실이 연합되어 있는 감독주의 개신교 (Epscopal protestant church)로 받아들임.
③ 교황 중심의 교회에서 크리스찬 공동체 중심으로 변함. 따라서 기독교인 한 사람의 인격과 자율성이 인정 되었다. 그리스도만이 교회의 머리이고, 기독교인은 교회의 지체이다.
④ 민주주의 제도가 정착됨.
⑤ 성직자들은 지배 계급이 아니라, 동일한 위치에서 직분만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됨.
⑥ 회중들이 교직자 선택의 자유를 갖게 됨.
⑦ 기독교 직업 의식의 용어가 바뀌게 됨 (profession ➡ vocation “부름 받았다.”)
⑧ 인간의 평등 주장. 만인 제사장설 인정.
6) 종교개혁자들의 신학 사상 비교
|
신학중심
|
신학의 출발
|
성찬
|
국가와의 관계
|
마틴루터
|
그리스도 중심
|
이신득의
|
성체 공재설
|
교회는 국가에 복종
|
쯔빙글리
|
하나님의지 중심
|
이신득의
|
기념설
|
별다른 주장 없음
|
존 칼빈
|
하나님 중심
|
하나님 절대 주권
|
영적 임재설
|
교회와 국가는 분리
|
7) 종교개혁 이후의 새로운 군소종파
-발생원인
-종교개혁이후 신비적인 경향으로 치우쳐서 말세사상이 유행하면서 반발세력으로 등장함.
-이들은 로마교회와 복음주의 개혁 운동 모두를 반대함.
(1)재세례파
-16세기초 종교개혁당시 독일, 네델란드, 스위스 등지의 일부 과격한 개혁주의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일으킨 운동이다. 이들은 정적파와 혁명파로 나뉜다.
-토마스 뮌저(Thomas Műnzer)가 주도했으며, 운동중심지는 스위스, 남부 독일, 모라비아 등이다.
-재세례파라는 명칭은 유아세례를 부인하고 장년이 되어 신앙고백을 할 때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서 유래했음.
-성서는 신앙에 대한 증언일 뿐이고 신자는 하나님에게서 직접 배울 수 있다고 주장. 성경의 권위보다 직접적인 하나님의 계시를 강조함.
-재산의 공동 소유와 교의규칙 엄수, 복수 엄금, 법정선서거부, 유아세례 반대, 무기사용 반대
-뮌저는 과격함으로 죽임을 당함. 후프마이어(B. Hubmaier)가 재세례파 사상을 정립했고, 멘노 시몬스(Menno Simons)가 뒤를 이음. 오늘의 침례교가 재세례파에서 파생함.
-1527년 아우구스부르크 총회에서 재세례파 교회를 정식으로 조직하고 7개 신조를 채택함.
-7개 신조
➀세례는 신자들에게만 행한다. ➁믿음이 없는 자들은 파문하여 진실한 신자들과의 교제를 막는다. ➂성만찬은 예수의 고난과 죽으심을 기념하는 표로 삼는다. ➃그리스도인들은 반드시 속세에서 떠난 생활을 해야 한다. ➄교역자들은 교인들의 영적 생활을 가르치며 도운다. ➅그리스도인은 검을 써서는 안되며 세속적인 정치에 관여해서도 안 된다. ➆그리스도인은 어떤 경우에도 맹세해서는 안 된다.
-이들은 성서만이 교회와 생활의 유일한 표준이라 생각했고, 신비한 내적 빛(Inner Light)을 강조함. 예정론을 배격함.
(2)신령파
-세바스챤 프랑케가 주도함.
-플라톤의 신비주의와 범신론적 사상을 주장함.
-성서보다 개인적인 체험의 계시를 강조함.
(3)반삼일론자
-미카엘 셀레투스(스페인 의사)가 주도함.
-복음의 예수와 교리상의 예수를 구분함.
-성서를 이성적으로 해석함.
-형벌 대속설을 부인하고 모범설(예수의 죽음은 본을 보이기 위함)을 주장함.
8) 영국에서의 개혁운동
-종교적인 이유보다 헨리 8세의 이혼 문제로 시작됨.
-헨리 8세는 루터의 성례관을 반박하는 ‘칠성례의 주장’이라는 책을 냄. 이로 인하여 교황 레오 10세에게 ‘신앙의 수호자’라는 칭호를 받음.
-헨리 8세는 황위를 계승할 왕자를 얻기 위해 왕후 캐더린과 이혼하고자 함. 교황이 이를 승인하지 않자 1534년 수장령을 발표하고 로마와는 절교함.
-헨리 8세의 종교적인 태도는 카톨릭 정통주의이며, 복음주의 운동을 박해했고, 교회 재산을 탐하여 전국 수도원을 조사하여 1536년 많은 수도원을 해산시키고 재산을 몰수함.
-헨리 8세 이후, 영국은 중립적 영국 교회, 카톨릭파, 프로테스탄트파 등 셋으로 나뉨.
-헨리 8세를 이은 에드워드 6세가 즉위한 후, 프로테스탄트로 개혁 됨. 헨리의 6개 신조를 취소하고 새로 42개조의 신조를 작성함.
-에드원드 6세 이후에 메리 여왕이 즉위하여 카톨릭으로 환원시키고, 에드워드 재임시의 모든 개혁을 폐지하고 헨리 8세의 상태로 복귀시킴. 신교에 대하여 혹독한 박해를 가함.
-엘리자베드 1세는 새로운 수장령과 신앙 형식 통일령을 발표한 다음, 1563년 42개 신조를 수정하여 39개 조로 만듬.
-영국의 국교는 성공회임(예배의식과 감독 계승은 카톨릭과 같음. 교황권을 부인하고 로마식 미사를 거부하며 교리는 칼빈주의를 채택한 프로테스탄트와 카톨릭의 혼합형태임).
9)프랑스의 개혁운동
오랜 전쟁인 위그노 전쟁(프로테스탄트와 카톨릭과의 전쟁)을 통해 위그노 출신의 나바르 공 앙리가 왕이 된 후, 1598년 낭트 칙령을 공포하여 신교의 자유를 선언함.
10)스코틀랜드의 개혁운동
-존 녹스의 주도로 일어남. 1540년 신부가 된 녹스는 1545년부터 당시 개혁자인 죠지 위샤트를 만나 개혁운동에 참여함. 이 개혁운동은 실패로 끝났고 녹스는 체포되어 19개월동안 노예생활을 함.
-1549년 영국으로 돌아온 녹스는 영국 교회의 목사가 되었고, 에드워드 6세 때 궁중 목사로 활동함.
-메리 여왕이 즉위하자 녹스는 망명했고 1554년 칼빈을 만남
-1559년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개혁운동을 주도했고 주둔하던 프랑스 군이 영국군에 패한 후 1560년 신교를 스코틀랜드 국교로 공인시킴.
-존 녹스의 신학 사상과 개혁 정신은 칼빈과 일치함.
11)히메네스(Ximenes, 1436-1517)의 개혁운동
-히메네스는 로마에서 신학공부를 했고 프란시스외 교단에서 엄격한 신앙생활을 함.
-스페인 여황 이사벨라의 요청에 의하여 톨레도(Toledo)의 대감독이 되었고 여왕과 함께 스페인에서 철저한 개혁운동을 단행함.
-세속적인 교직자를 추방하고 아퀴나스 신학을 부흥시킴. 종교재판소를 설치하여 이단처벌을 시행함.
-1498년에는 알칼라 대학을 창설, 알칼라 대조 성경을 출판함.
-이런 개혁운동으로 스페인은 유럽 어느 나라보다 도덕과 지적 갱신에 진보한 가장 독립적인 민족 교회를 이루게 됨. 지금도 스페인에는 개신교가 거의 없음.
12)알미니안주의
-알미니안은 네델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출생하여 제네바에서 공부함. 1558년 암스테르담에서 목회를 시작하여 영적 설교자와 목사로 부각이 됨. 1603년 라이덴 대학 교수가 된 후 칼빈의 예정론을 예리하게 비판함.
|
타락
|
예정
|
구속
|
은총
|
하나님의 보호
|
존 칼빈
|
완전타락
|
절대예정
|
제한된 구속
|
불가항력적 은총
|
하나님께서 끝까지 보호
|
알미니안
|
자유의지
|
예지예정
|
무한 구속
|
가항력적 은총
|
성도의 보호가 불확실
|
13)도르트 회의(1618-1619)
(1)개회동기 - 칼빈파와 알미니안하 간의 분쟁을 종결짓고 알미니안파를 배제할 목적으로 개회.
(2)결과
-알미니안의 국외추방
-칼빈주의적 규정을 채택하여 ‘도르트 신조’로 제정함.
-도르트 신조는 그 이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작성에 큰 영향을 끼침.